Spring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Jackson을 통해서 처리하는 방법 (feat. streaming api)
해당 글에서 사용한 코드는 해당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글에서 사용한 코드는 해당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드와 관련해서는 github를 참고하세요.
Overview 기존에 블로깅했던 내용 설명한 방식을 통해서 특별한 추가 명령어 없이 바로 Jar를 만들고 docker image를 만들 수 있었다. 그 이후 Java 메모리 설정에 대해 말해보겠다.
배경 기존에 RestTemplate을 이용해서 Spring에서 http client 라이브러리 역할을 많이 했다. 하지만 Spring에서 RestTemplate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보다 deprecated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친구가 없을까 싶어 찾던 중 fe...
배경 Java profile에 맞는 환경 마다 동작하게 만드는 properties 파일을 다르게 설정하고 싶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제가 생각했을 때 편한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Gradle task task는 gradle project의 작업 단위. 기본적으로 gradle에서는 제공해주는 task들이 있음. 이런 친구들을 ./gradlew [taskName] 을 활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bradlew bootJar 를 실행하는 경우 ....
Overview Spring boot를 활용하여서 도커 이미지를 만들 때 단점을 이야기하며 그것에 대한 개선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